건강 / / 2023. 4. 24. 22:49

치과 <엑스레이> 종류, 보는 방법, 비용

반응형

치과에 내원하면 보통 엑스레이 사진 촬영을 하게 되며, 치과의사는 엑스레이 사진을 이용하여 환자에게 설명을 합니다. 오늘은 치과 엑스레이의 종류와 보는 법, 엑스레이 비용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엑스레이 종류

치과 엑스레이는 치과 진단과 치료계획을 세우는데 필수적인 검사입니다. 엑스레이를 통하여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충치를 발견하거나, 잇몸과 뼈의 상태, 질환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아이들의 경우 영구치의 결손이나 과잉치 등 올바른 방향으로 치아가 맹출 할지 엑스레이를 통하여 평가할 수도 있습니다. 치과에서 사용되는 엑스레이 종류로는 크게 3가지로 치근단 엑스레이, 파노라마, CT 촬영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치근단 엑스레이 촬영은 구강 내에 필름을 위치시키고 촬영하는 방식입니다. 치근단 엑스레이 촬영을 하는 경우 충치, 치근단 질환 및 치근단 병소 확인, 치아와 주위조직의 병변 확인, 염증성 질환 및 낭종, 근관치료 과정, 발치 전과 발치 후, 매복치 등 구강병소를 자세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파노라마는 얼굴 앞 표면을 향해 촬영하는 구강 외 촬영법입니다. 구강 전체를 평면적으로 보여주며 전반적인 치아 상태나 배열, 잇몸뼈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파노라마 촬영으로 치아와 잇몸의 전반적인 평가, 사랑니의 위치 및 뿌리 모양, 과잉치, 영구치 결손, 상악동, 악관절, 신경관 등의 위치를 확인하며 파악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CT 촬영은 고해상도의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여, 구강 내 구조를 상세하게 평가하고, 진단을 도울 수 있습니다. 치아의 위치나 크기, 방향, 임플란트 수술계획, 낭종 검출 등 다양한 치과 진단 및 치료계획에 활용합니다.

 

보는 방법

치과 엑스레이를 판독할 때 방사선 투과량에 따라서 밝고 어두운 정도로 알 수 있습니다. 잇몸이나 볼살과 같이 부드럽고 밀도가 낮은 곳은 어둡게 보이며, 치아나 뼈와 같이 단단하고 밀도가 놓은 부위는 밝게 보이는 것입니다. 간혹 엑스레이 사진에서 치아가 어둡게 보이는 부분이 관찰될 수 있는데, 그 부분을 충치라고 의심할 수 있습니다. 충치로 인해 방사선이 투과했기 때문에 어둡게 보이는 것입니다. 파노라마 촬영 사진에서 치아 사이가 겹쳐 나와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치근단 엑스레이 촬영을 통해 자세한 충치 확인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사진 상에서 치아보다 밝고 하얗게 나타나는 부분도 볼 수 있습니다. 그 부분은 레진으로 때우거나, 인레이, 크라운 치료를 한 경우에 그 모양대로 사진상에 하얗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엑스레이 사진으로 뿌리 끝 염증 상태도 확인할 수 있으며, 이 부분은 뿌리 밑쪽으로 어둡고 까맣게 나타납니다. 이 외에도 엑스레이 사진상으로 사랑니 위치와 맹출 방향, 과잉치, 잇몸 뼈 상태 등을 볼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엑스레이 촬영 시에 주의사항을 안내하자면, 귀걸이나 목걸이는 빼고 촬영하도록 합니다. 그리고 촬영 중에는 눈을 감고 촬영하시는 것이 좋으며, 움직이지 않도록 합니다. 

 

비용

치과 엑스레이 비용은 보통 스케일링, 충치치료 등 치과진료시에 같이 촬영하므로, 치과진료비와 같이 수납하게 됩니다. 기본 진찰료와 추가처치 등 엑스레이 외에 추가되는 비용이 있어 명확한 비용을 안내하기는 어렵습니다. 일반적인 치과 엑스레이 비용은 보험혜택을 받을 수 있으며, 몇 천원에서 몇 만원 정도가 될 수 있습니다. 치과 엑스레이 비용은 상황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며, 엑스레이 촬영의 종류와 개수, 병원이 규모 등이 비용에 영향을 미칩니다. 임플란트와 교정 등의 치료를 위해 엑스레이 촬영이 필요한 경우에는 일반적인 비용보다 더 높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환자의 보험 혜택에 따라서 비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치과 보험이 있는 경우 일부 비용이 보험으로 보상받을 있으며, 보험이 없는 경우에는 전액을 환자 부담하게 됩니다. 그리하여 치과 보험이 있는 경우에는 본인의 보험 계약 내용을 확인해 보거나 보험사에 문의하여 확인해봐야 합니다. 가장 정확한 방법은 치과에 내원하여 직접 문의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방법입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